일반적으로 재태크의 3요소는
수입, 투자, 절약으로 구성된다.
(재태크란 재물 재(財)와 기술을 뜻하는 영어 Technology의 합성어로 '자신의 보유 자산을 운용하여 이익을 창출하는 행위'를 뜻한다.)
- 수입: 노동을 통해 얻는 수입을 증가시키는 방법
- 투자: 크게 보면 주식과 부동산 등
- 절약: 지출 관리(지출을 관리하여 불필요한 지출을 줄이고 저축을 늘리는 것) + 절세
절약의 목적은 '투자를 위한 종잣돈을 모으는 것'이다.
많은 재태크 강사들이 종잣돈 '1억'에 대해 이야기 한다.
1억이라는 금액은 큰 돈의 상징이기도 하지만 다음 두가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 자신의 수입과 지출을 관리하는 훈련 (=나의 욕망을 제어)
- 1억을 모으는 시간 = 경재와 투자에 대해 공부하는 시간
따라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1억을 모으기 위한 수입,지출 관리 시스템인 통장 쪼개기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목적에 따라 아래의 통장들이 사용된다.
- 급여통장
- 저축통장 (예,적금)
- 비상금 통장
- 고정 생활비 통장
- 생활비 통장 (=정기 지출 통장)
- 비정기 지출 통장
- 급여통장
급여통장이란 급여가 이체되도록 설정된 통장이다.
급여통장의 핵심은 급여가 들어오자 마자 '텅장'이 되야한다.
급여가 이체되지마자 자신의 고정비는 고정 생활비 통장으로 생활비는 생활비 통장으로 이체된다.
그리고 약속한 적금 금액과 비상금 금액은 각각 적금 통장과 비상금 통장으로 이체된다.
이렇게 모든 이체가 종료되면, 당신의 통장에는 정확하게 0원이 찍혀야 한다.
- 저축통장(예적금)
1억을 만드는데 필요한 돈은 267만원 씩 3년, 158만원 씩 5년이다.
핵심은 월급에서 저축을 하고 남은 금액으로 예산을 세워 어떻게든 생활하는 것이다.
만약 정한 저축 금액으로 생활비를 감당할 수 없다면 증가형 저축 방식으로 바꾸거나 투잡, 쓰리잡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증가형 저축방식의 예는 아래와 같다
15% 증가형 | 1년차 | 2년차 | 3년차 | 4년차 | 5년차 |
월 저축액 | 119 | 137 | 155 | 173 | 191 |
- 비상금 통장
비상금 통장의 목적은 갑작스러운 지출이 발생하였을 때, 적금을 깨지 않는 것이다.
갑작스러운 지출은 대표적으로 경조사(생일, 장례, 축의 등), 건강 악화(병원비), 실직(생활비+구직비) 등이 있다.
사람마다 비상금을 얼마정도 가지고 있어야 하는지에 대한 기준이 다르다.
월급의 3개월 정도를 이야기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
- 고정 생활비 지출 통장
쉽게 말해 '숨만 쉬어도 나가는 돈'이다.
대표적으로 대출(학자금, 신용대출), 주거비(월세, 전세대출 이자, 관리비), 통신비(휴대폰, 인테넷, TV), 구독비(클라우드, OTT, 신문, 맴버쉽), 보험비(실비, 자동차), 교통비(대중교통, 자동차 할부) 그리고 정기 후원과 같은 기부금이 있다.
고정 생활비는 매달 정기적으로 지출된다. 그 말은 이 비용을 줄이면 매달 줄인 금액 만금 저축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우리가 통장 쪼개기를 하는 이유는 종잣돈을 만들기 위해서다.
따라서 고정 생활비 중 아낄 수 있는 것은 최대한 이끼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지출비에 대한 김경필 머니 트레이너의 조언을 여기에 몇 가지 인용하도록 하겠다.
"주거비가 월급의 15%이상이라면 당장 이사가라."
"월급이 400만원 이하라면 걸어다녀라. (자동차 x)"
전월세에 관해서는 다음에 자세히 다루도록 하겠다.
이외에 통신비를 아끼기 위한 방법과(알뜰 통신사, 아정당 등) 불필요한 보험 특약들을 혜지하고 꼭 필요한 것만 남겨 보험료를 절감하는 방법도 존재한다. 이는 추후에 연재하도록 하겠다.
- 생활비 통장 (=정기 지출 통장)
생활비 통장은 항목별 예산을 세우는게 중요하다.
평소 각 항목의 지출금액을 알지 못한다면 지금부터 '가계부'를 쓰며 지출을 파악하는게 굉장히 중요하다.
권장되는 외식지출 비용은 월급의 20% 이하이다.
(앵갤지수: 가계소비지출 중 식료품비 지출의 비율)
- 비정기 지출 통장
샐활비 항목에 포함은 되지만 정기적으로 나가지 않고 이벤트성으로 소비되는 항목에 관한 통장이다.
계절지출 100%이하
- 명절(설, 추석)
- 여행(휴가, 연휴)
- 이번트(생일, 기념일)
- 겨울옷(11월)
월급여/12에 해당하는 금액이 항상 급여통장에서 비정기 지출 통장으로 이체 되야한다.
처음 시작하는 분들을 위한 따라하기 쉬운 몇가지 이정표를 제시하겠다.
- 고정 지출 항목 정리 (노션 표 제공)
- 가계부 기록 (어플 스콘 추천, 가이드 제공) -> 지출 항목 파악
- 지출 항목 별 예산 세우기 (예산 표 제공)
- 저축 금액 설정하기 (비상금, 적금)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초년생을 위한 '통장 쪼개기' 가이드 | 실전편: 급여통장 (3) | 2024.02.25 |
---|